공연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“우리 동네에서는 공연이 얼마나 자주 열릴까?”라는 생각 해보셨을 거예요.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, 전국 각 지역별 공연시설 수와 실제 공연이 열린 횟수(상연 횟수)를 비교해보면서, 공연이 가장 활발하게 열리는 도시가 어디인지 살펴보겠습니다.
1. 공연장이 많다고 공연이 많은 건 아니다?
가장 먼저 눈에 띄는 도시는 단연 서울입니다. 서울은 공연시설만 무려 1,339개, 실제로 공연이 열린 횟수는 80,509회로 압도적이에요.
한 해 동안 하루 200건 이상의 공연이 열린 셈이죠.
그렇다면 서울 다음으로 공연이 자주 열리는 곳은 어디일까요? 데이터를 보면 경상도, 경기, 충청도 등이 뒤를 잇고 있어요.
특히 경상도는 공연시설 수 대비 공연 횟수가 많아 ‘공연 활용도’가 높은 지역이라고 볼 수 있어요.
순위 | 지역 | 상연 횟수 | 공연시설 수 |
1 | 서울 | 80,509회 | 1,339개 |
2 | 경상도 | 15,256회 | 623개 |
3 | 경기 | 10,618회 | 422개 |
4 | 충청도 | 5,872회 | 276개 |
5 | 전라도 | 5,408회 | 264개 |
이 표만 봐도 서울은 확실히 규모 면에서 독보적이죠.
하지만 단순히 숫자만 보면 안 돼요. 공연장이 얼마나 ‘잘’ 활용되고 있는지도 함께 봐야 진짜 문화 활력을 알 수 있어요.
2. 우리 동네 공연, 얼마나 활발할까?
공연장 숫자만 봐서는 잘 모르겠다면, 공연시설 한 곳당 실제로 몇 번 공연이 열렸는지를 계산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.
이를 통해 “공연장이 있다고 해서 공연이 자주 열리는 건 아니구나” 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죠.

서울은 공연장이 많을 뿐 아니라, 매우 자주 활용되는 도시입니다.
반면, 경기나 경상도처럼 시설은 많지만 활용도는 비교적 낮은 지역도 있어요.
이는 단순히 시설을 더 짓는 것보다, 기존 시설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걸 보여줍니다.
3. 공연장이 많다고 다 좋은 건 아니에요
단순히 공연장이 많다고 해서 문화생활이 활발하다고 보기엔 아쉬워요.
정말 중요한 건 그 시설이 얼마나 ‘잘 활용되고 있느냐’입니다.
그래서 살펴본 지표는 바로
‘공연시설당 평균 관객 수’, 즉 공연장 1곳이 1년 동안 유치한 관객 수예요.
지역 | 공연시설 수 | 예매 수 | 시설당 평균 관객 수 |
서울 | 1,339개 | 2,261만 명 | 약 1만6,892명 |
부산 | 196개 | 177만 명 | 약 9,072명 |
경기 | 422개 | 369만 명 | 약 8,750명 |
경상도 | 623개 | 479만 명 | 약 7,698명 |
서울은 공연시설 1곳당 관객 수가 가장 많고, 공연시설 활용률이 매우 높아요.
한 해 동안 공연장 1곳에 평균 1만6천 명이 다녀갔다는 건 엄청난 수치죠.
4. 한 공연에 몇 명이나 볼까?
이번엔 공연 한 번당 평균 관람객 수와 수익을 살펴볼게요.
경기, 경상도, 부산은 공연 1회당 평균 관객 수가 300명 이상이고,
부산은 특히 회당 수익이 가장 높아 티켓 단가가 높은 공연이 많았을 가능성이 커요.
지역 | 상연 횟수 | 예매 수 | 1회당 관객 수 | 1회당 수익 (천원) |
경상도 | 15,256회 | 479만 명 | 314명 | 약 12,140천원 |
경기 | 10,618회 | 369만 명 | 348명 | 약 12,044천원 |
부산 | 5,243회 | 178만 명 | 339명 | 약 15,769천원 |
서울 | 80,509회 | 2,261만 명 | 280명 | 약 11,803천원 |
5. 예매했다가 취소하는 사람, 어느 지역이 많을까?
서울은 공연이 많고 관객도 많지만, 예매 후 취소 비율도 가장 높아요.
반대로 경기 지역은 취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아, 예매 문화가 조금 더 안정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어요.
지역 | 예매 수 | 취소 수 | 취소율 (%) |
서울 | 2,261만 명 | 916만 건 | 약 40.5% |
부산 | 178만 명 | 68만 건 | 약 38.6% |
경상도 | 479만 명 | 160만 건 | 약 33.5% |
경기 | 369만 명 | 113만 건 | 약 30.6% |
마무리: 공연 데이터로 본 지역 공연의 특징 요약
📌 서울은 공연장이 많고 공연도 많고 관객도 많지만, 취소도 많다
📌 부산은 회당 수익이 높고, 질 높은 공연이 많을 가능성이 있다
📌 경기는 공연장 대비 활용도도 높고, 취소율도 낮은 안정적인 문화 흐름
📌 경상도는 공연이 꽤 자주 열리며, 1회당 관객 수도 상당히 높다
여러분이 사는 지역은 어떤가요?
'숫자로 읽는 문화여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년 서양음악과 국악 공연은 얼마나 상연되었을까?(with 공연예술통합전산망 2024 장르별통계) (1) | 2025.03.28 |
---|---|
어떤 장르의 공연이 오래 상연할까?(with 공연예술통합전산망 2024 종합통계) (1) | 2025.03.26 |
2024년 공연의 특징 분석(1)-어떤 장르의 공연을 가장 많이 봤을까? (0) | 2025.02.18 |
우리는 책을 얼마나 읽을까? (3) | 2025.02.04 |